정지현
2020 명륜동작업실

정지현은 어릴 때부터 ‘만들기’라는 활동을 해왔고 지금까지도 미술가로서 무엇인가를 만드는 일을 하고 있다. 그는 만드는 일을 지속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크고 작은 것을 취하며 만드는 일에 필요하지 않은 모든 것을 최대한 축소하는 법을 몸소 익혀왔다. 그러나 그런 두터운 훈련의 시간을 지나온 지금 그가 하는 작업이 단순한 ‘만들기’에 그친다고는 할 수 없다.  
 
(···)
 
정지현의 작업에서는 뿌리가 각기 다른 곳에서 온 사물이 하나의 목표를 가지고 모여 통합된 생태계를 조성한다. 그가 사물을 사용하여 만들어 낸 생태계는 결국 이미지의 세계이다. 여기서 이미지는 물리적으로 평면적인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상(像)을 말한다. 일상에서 가져온 이 사물과 이미지는 누군가에게 어딘가 익숙한 형태의 파편으로 존재하지만 정지현에게 일상적인 이미지를 재현하는 것이 목적은 아니다. 정지현은 익숙한 출처를 가진 재료를 자르고 가공하고 편집하여 이미지를 구성한다.
 
전효경. 「정지현: ‘만들기’의 실천」. 월간미술(2018:3) 中 발췌 
 
홈페이지: http://jihyunjung.com/
이메일: astradiog@gmail.com

2014 석사,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조형예술 전문사, 서울, 한국
2010 학사,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조형예술 예술사, 서울, 한국

Solo Exhibition (Selected)
2023 《행도그》, 아트선재센터, 서울, 한국
2022 《가우지》,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한국
2019 《다목적 헨리》, 아뜰리에 에르메스, 서울, 한국
2016 《곰염섬》, 두산갤러리, 서울, 한국
2015 《Cases of Finding a Whale in Mountain》, 두산갤러리, 서울, 한국
2014 《1 to 380》, 신도 문화공간, 서울, 한국
2013 《Bird Eat Bird》, 인사미술공간, 서울, 한국
2011 《빗나간 자리》, 프로젝트 스페이스 사루비아 다방, 서울, 한국
2010 《못다 한 말》, 갤러리 스케이프, 서울, 한국

Group Exhibition (Selected)
2024 《아트스펙트럼: 드림 스크린》, 리움미술관, 서울, 한국
2022 《조각충동》,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서울, 한국
2022 《각》, 하이트 컬렉션, 서울, 한국
2021 《걱정을 멈추고 폭탄을 사랑하기》, 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 서울, 한국
2021 《이음》, 한국국제교류재단, 서울, 한국
2021 《횡단하는 물질의 세계》, 아르코 미술관, 서울, 한국
2020 《아트 플랜트 아시아 2020: 토끼 방향 오브젝트》, 아트플랜트 아시아, 서울, 한국
2020 《캐스트 앤 크랙》, 정동1928아트센터, 서울, 한국
2019 《어긋나는 생장점》, 문화비축기지, 서울, 한국
2019 《Array》, 갤러리 바톤, 서울, 한국

Residency
2022 <인천아트플랫폼> 입주작가,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한국
2021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15기> 입주작가,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서울, 한국
2020 <명륜동 작업실>, 캔 파운데이션, 서울, 한국
2017 <창제작센터 랩 방문창작자> 선정,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광주, 한국
2015 <금천예술공장 7기>, 금천예술공장, 서울, 한국
2015 <두산 뉴욕 레지던시 프로그램>, 두산레지던시 뉴욕, 뉴욕, 미국
2013 <제3회 신도리코 작가 지원 프로그램>, 재단법인 가헌 신도재단, 서울, 한국
2013 <ARKO Young ART Frontier> 선정,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서울, 한국
2012 <메르세데츠 벤츠 코리아 아티스트> 선정, 메르세데츠 벤츠, 서울, 한국

Award
2023 <김세중 청년 조각상>, The Valerie Beston Artists’ Trust, 런던, 영국
2021 <문체부 공공미술 프로젝트 ‘내 이웃의 의자’ 장관상>, 문화체육관광부, 양구, 한국
2017 <창제작센터 랩 방문창작자> 선정,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광주, 한국

(2025.05. 작성)

홈페이지: www.Jihyunjung.com

이메일: astradio@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