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민정
2015 명륜동작업실

이번 전시에서는 고정되어 있지 않은 이미지를 주는 자취들로부터 시작된 상상의 존재에 관한 이야기들을 해보고자 했다. 이것들은 마치 오래된 집이 주는 공간의 이미지가 그러하듯, 항상 언제나 같은 모습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이들은 때에 따라서는 그 모습을 감추기도 하고 얼그러지기도 하고 움직이기도 하는 공간과 공간 속의 사람들과 함께 공생하는 존재들로서 그 형체를 드러낸다. 즉 흔적으로부터 파생된 상상의 존재는 그것이 머물러있는 환경과 적극적으로 관계를 맺는다.

작품에 사용되는 오브제는 집과 관련된 것으로 집의 일부를 차지하거나 그것을 건축하는 데에 사용되는 물건들이다. 각기 다른 집의 구성물이었던 양동이, 나무, 방수페인트, 의자 등의 오브제들이 이번 전시를 통해 오래된 집의 물건들로 다시 모인 셈이다. 그리고 이 물건들은 ‘물’을 중심으로 여러 사건, 이야기들로 얽혀 오래된 집에 관한 작품이 된다.

(2015 작가노트 중)

2020 석사,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미디어아트전공, 서울, 한국
2009 학사, 서울대학교 조소과, 서울, 한국

Solo Exhibition (Selected)
2018 《국지성 백야》, 플레이스 막-레이져, 서울, 한국
2015 《오래된 집 재생프로젝트11기 장마프로젝트 1부 ‘젊음의 샘’》, 스페이스 캔, 서울, 한국
2013 《인공의 방》, 갤러리 도스, 서울, 한국
2010 《강민정 초대展》, 아트 스페이스 SSAM, 서울, 한국 

Group Exhibition (Selected)
2023 《프로젝트 해시태그 2023》,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한국
2023 《창동레지던시 오픈스튜디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한국
2023 《빛나는 것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한국
2022 《Air-Drop Simulation》, 문래예술공장, 서울, 한국
2020 《현재의 기억》, 팔복예술공장, 전주, 한국
2019 《매니페스토 파티: 페미니스트 블루프린트》, 스페이스 공공연희 카페 보스톡, 서울, 한국
2019 팔복예술공장 창작스튜디오 2019 《같이 나아감》, 팔복예술공장, 전주, 한국
2018 《ACC R CREATORS IN LAB SHOWCASE》,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광주, 한국
2018 《포킹룸 – 당신의 똑똑한 이웃들》, 탈영역우정국, 서울, 한국
2015 《Zero measurement》, 갤러리 MOA, 파주, 한국

Residency
2023 <창동레지던시 프로젝트 해시태그 2023>, 국립현대미술관 창동레지던시, 서울, 한국
2019 <팔복예술공장>, 팔복예술공장, 전주, 한국
2018 <국립아시아문화전당 ACC-R>,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광주, 한국
2015 <오래된 집>, 캔 파운데이션, 서울, 한국

Award
2023 <프로젝트 해시태그>, 현대자동차/국립현대미술관, 서울, 한국
2022 <서울예술지원 RE: SEARCH>, 서울문화재단, 서울, 한국
2020 <아트 머스트 고온 – 작품제작>, 서울문화재단, 서울, 한국

Collected
서울문화재단 청년예술청

(2025.5. 작성)

이메일: longfactory13@hanmail.net

인스타그램: @mydearricophoto